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1
- Component
- 스프링
- 오토와이어드
- 스프링 부트
- zepettoworld.com
- autowired
- layout #thymeleaf #화면분할
- DispatcherServlet
- spring
- git #gitlab #github
- Bean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6)
기록과 정리
Servlet 서블릿? 먼저 스펙이다. 자바EE에서 제공하는 웹 개발용 스펙 및 API 제공하며 그 중 핵심적 클래스로 HttpServlet이 있다. 기존에 사용했던 CGI ( Common Gateway Interface ) 보다 빠르며 보안, 이식성등 장점이 있다. 흔히 우리가 아는 서블릿 엔진 또는 서블릿 컨테이너(톰캣)에서 세션관리, 네트워크 서비스, MINE 기반 메세지 인/디코딩, 서블릿 생명주기 관리등을 해주는 스펙에 기반해서 관리를 할 줄 안다. DispatcherServlet 모든 요청은 Front Controller 패턴을 의하면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된다. 이러한 요청들은 컨트롤러가 해당 요청을 처리할 핸들러들에게 분배(Dispatch)한다. 스프링은 이런 FrontController 역..
스코프의 종류 1. 싱글톤 - 싱글톤이란 '인스턴스'를 하나만 가지고 있는 스코프의 종류이다. - 기본적으로 Bean의 스코프는 싱글톤이다. 2. 프로토타입 - 싱글톤과 다르게 인스턴스를 여러개 가질 수 있다. Bean의 스코프의 defult는 싱글톤 스코프이며 , 프로토 타입 스코프 안에 싱글톤 스코프를 빈을 가진다면 큰 문제가 없지만 반대의 경우 , 싱글톤 안에 프로토 타입이 있다면 해당 싱글톤을 불러온다 하더라도 싱글톤 안에 인스턴스의 주소 값이 변하게 된다. 위와 같은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도록 하자.
이 글은 인프런 백기선님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 강의에 대한 정리입니다. @Component란? 우선 Component와 Bean에 대한 차이에 대한 글입니다. jojoldu.tistory.com/27 @Bean vs @Component Spring으로 개발을 하다보면 @Bean과 @Component를 언제 써야할지 헷갈릴때가 있다. 둘다 목적이 명확하지 않은 Bean을 생성할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인데 왜 2개로 나누어져있나 궁금했었는데, 박재성 jojoldu.tistory.com 컴포넌트의 종류로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Configuration ... 등이 있다. 컴포넌트스캔이란? 컴포넌트 스캔은 말그대로 컴포넌트를 찾아내는 역할을 하는데 SpringBoot..

이 글은 인프런 백기선님 강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기술에 대한 강의 정리입니다. IoC 컨테이너에 Bean이 등록이 되고 해당 빈에 대해서 주입받을 때 ,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 Autowired를 사용하는 위치 @Autowired를 사용할 수 위치는 3가지다. 1. 생성자 2. Setter 3. Field 1. 생성자 생성자에 Autowired를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보이는 BookReposiory에 @Repository로 컴포넌트 생성을 한 후, 빈 주입을 해줄 수 있다. 2. Setter Setter를 이용한 방법, 위처럼 @Autowired만 붙이고 Bean생성을 안하더라도 인스턴스는 만들 수 있겠지만, Setter로 인 해 Autowired가 빈을 찾으려하는 과정에..
스택 (stack)? - LIFO(Last In First Out) 후입선출 - Push&Pop 으로 자료를 넣고 꺼내는 작업을 할 수 있다. - 파이썬은 스택 자료구조는 따로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기본 클래스인 list를 통해 스택을 흉내 낼 수 있다. Stack - push 스택에 원소를 넣을 때에는 append 메서드를 이용해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에 원소를 넣도록 한다. Stack - pop 스택에서 원소를 제거할 때에는 pop 메소드를 이용해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 원소를 제거해준다. 이때, pop 메서드에 의해 제거한 원소를 리턴 받을 수 있다. Stack - top 스택에서 원소를 제거하지 않고 가져오기만 할 때에는 [-1]을 이용하도록 한다. https://www.acmicpc.net/pro..

타임리프로 레이아웃 설정을 해보자 웹은 보통 헤더+내용+푸터 (+사이더) 로 이루어져있다. 사진으로보면 다음과 같다 Layout을 나누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Tiles, Ant-d... 오늘은 Thymeleaf 에서 layout 설정을 해보겠다. common/scripts 와 common/styles는 공통 js/css 관리 파일이다. 해당 파일에는 공통으로 사용하는 파일을 적절히 선언할 것. 파일 구조를 만들었다면 라이브러리 의존성 주입을 받아야 한다. 간단하게 이 페이지를 보면 layout을 구성하겠지만 더 자세한 내용은 위 깃주소를 참조하자. fragments/config 소스는 다음과 같다. tag에 타임리프와 레이아웃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선언을 해주고 해당 head 태그에는 configFr..
백기선님이 강의하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기술 정리입니다. IoC ( Inversion of Control ) - 의존 관계 주입 (Dependency Injection), 어떤 객체가 사용하는 의존 객체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입 받아 사용하는 방법을 말함. 의존성 주입을 하고 싶다 ? -> Bean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Bean이란? -> 스프링 IoC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 장점으로는 의존성관리, 스코프(싱글톤), 라이프사이클 인터페이스 사용등이 있다. 스프링 IoC 컨테이너의 가장 최상위의 인터페이스는 BeanFactory 이며 다양한 구현체를 가지고 있다.

개발하기 앞서 환경구축은 매우 귀찮고 힘든 작업이다..하지만 작업하기 원활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집에 놀고있는(?) PC를 이용하여 서버를 만들어보려합니다. 우리집 네트워크 구성도이다.오피스텔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KT공유기가 있다.KT공유기 admin에 접속은 172.30.1.254 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ID/PW는1) 홈 허브 (구형) - ID: ktuser / 암호: megaap2) 홈 허브 (신형/기가 WiFi 지원) - ID: ktuser / 암호: homehub참고) hwtips.tistory.com/1957KT 홈 허브 관리자 로그인 방법 및 암호 (기가 WiFi 공유기)KT(올레)에서 인터넷을 신청하고 KT(올레) 홈 허브를 설치했지만 기사님의 정확한 안내를 받지 못했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개발하면서 헷갈렸던 부분이 있어 정리를 해본다. 폼을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정보 (데이터) 를 제공해주는 방법이다. 예시) - 게시글 작성 후,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 로그인시 , ID&Password를 서버로 전송할 때 전송해주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Form에서 직접 action url 을 지정해줌으로써 서버로 전달. 2. ajax를 이용하여 서버로 전달 Form으로 직접 서버로 전달할 경우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으로 자동 설정된다. form enctype 옵션 값으로 데이터 전달 타입을 변경할 수 있으나 한정적이며 application/json type이 없다. 이럴 경우 2번의 방법(ajax)으로 서버로 전달을 하는 방법..